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6)
<STEP UP-ZERO> 6차시 - 기업이해 및 진로탐색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민간부문 전세계 개발도상국 유입 자금원을 분석해보면 지난 20년간 외국인 직접투자와 송금을 통한 자금 유입은 증가하였는데 ODA를 통한 자금은 제자리임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ODA는 더이상 주 자금원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2017년 전세계 개발도상국 유입 자금원을 분석해보면 외국인 직접투자가 41%, 개인 송금이 33%를 차지하였고 ODA와 같은 공적 개발 원조는 15%를 차지하였다. 외국인직접투자와 자국민 송금이 현금 유입의 4분의 3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에서 민간기업의 역할 공여국 정부와 국제기구만을 공여자로 보고 개발NGOs를 수행자로 보는 전통적인 국제개발협력의 개념에서 탈피해 민간기업 역시 수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업계..
<STEP UP-ZERO> 5차시 - 개발컨설팅 이해 및 진로탐색 국제개발컨설팅의 정의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경제사회발전을 목적으로 과제에 대한 기획, 집행, 평가에 전문적 자문을 제공하는 서비스 공감대를 넓힐 수 있는 지식기반활동 중요 진행방식에서는 상당부분 유사함. 목적이 다름. 우리나라 국제개발 컨설팅 환경의 문제점 1. 기존 하드웨어 제공 중심 사업의 문제 2. 공급자 중심 사업(역량 개발이 포함되지 않아 효과 감소) 3. 지속적인 모니터링 부재(성과관리가 없는 경우 원조의 지속가능성이 저하) 개발정책 컨설팅과 개도국 조직경영 컨설팅 개발정책 컨설팅 -국가수준 통합/분야별 정책 -대단위/중장기 개발프로그램 -중/단기 프로젝트 개도국 조직경영 컨설팅 -개발도상국 국가/공공기관 경영전략 -개발도상국 국가/공공기관/민간 사업 전략 -개발도상국 국가/공공기관/민간 사업 ..
<STEP UP-ZERO> 4차시 - 공공기관 이해 및 진로탐색 ODA의 개념 ODA란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이해관계자들의 활동을 말한다. 개발원조위원회에서 정의한 ODA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또는 정부의 원조기관에 의해 공여된다. 둘째,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복지향상에 기여한다. 셋째, 자금 공여조건이 개발도상국에게 부담되지 않도록 무상 부분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한다. 차관의 경우 증여율이 25%이상이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적개발원조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公的開發援助]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개발협력 주요 행위자 ODA 는 다양한 공여 주체가 있다. 공여국, UN기관, OECD, 민간기업, 개발은행, 시민사회 등. ODA추진체계 국제개발협력위원회는 국제개발협력..
<STEP UP-ZERO> 3차시 - 국제기구 이해 및 진로탐색 다자원조란 무엇인가 양자 간(Bilateral) 원조와 다자간(Multilateral) 원조는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협력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복지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공적개발원조의 한 형태이다. ‘양자 간 원조’는 공여국과 수원국 간의 직접거래를 의미하며, 상환 의무에 따라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로 구분된다. ‘다자간 원조’는 공여국이 국제기구에 대한 출연 또는 출자를 통해 수원국을 간접적으로 원조하는 방식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와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에서 선정한 특정 국제기구에 납부하는 분담금, 기여금, 신탁기금 등의 출연금(grant..
<STEP UP-ZERO> 1차시 - 개발협력 일자리와 생태계 개발협력의 개념 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개발을 위한 협력체제"를 말하며, 개발도상국의 빈곤감소, 경제사회 발전 및 복지 증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구체적인 노력과 행위로 볼 수 있다. 개발협력은 가장 좁은 개념이다. 요즘 트렌트는 개발협력이 확대되어서 민간부분의 협력도 포함되어 있고 개발협력의 개념은 확대되고 있다. 개발협력의 재원과 지원방식 양허성 재원은 차관에 있어 개발도상국에 특혜를 주는 것을 말한다. 상환기간 길고 이자도 낮다. 무상증여는 양허성이다. 아동후원금, 민간 재단, 기업이 외국인 직접 투자인 경우 민간재원 중 비양허성 재원에 해당함. 개도국에 대한 개발 재원의 흐름 파란색-ODA 진한 녹색-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의한 송금액 옅은 녹색- 민간 부분에 의한 투자(민간기업) 공공부문 oda는 ..
[독후감] 식량위기 대한민국-남재작 이 책의 내용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현실을 직시하고 지금 당장 조치를 취하라"는 것이다. 이미 대기 중 이산화탄소는 지구의 표면이 흡수할 수 있는 2배 이상을 배출하고 있고 지구 온도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우리가 지금 당장 탄소중립을 실천한다고 해도 2050년까지 1.5도가 상승할 것이고, 그로 인해 우리의 일상에 많은 변화가 초래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최약층은 개발도상국, 최빈국 국민들이다. 지속되는 가뭄, 폭우로 농업 생산량이 급감하고 많은 농민들이 수도의 빈민으로 전락한다. 특히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은 유럽의 난민으로 유입되며 유럽 사회의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즉 기후변화는 개도국의 문제만이 아니라 피난민들이 유럽 각지에 난민으로 체류하게 되면서 여러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기후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