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컨설팅의 정의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경제사회발전을 목적으로 과제에 대한 기획, 집행, 평가에 전문적 자문을 제공하는 서비스
공감대를 넓힐 수 있는 지식기반활동 중요
진행방식에서는 상당부분 유사함. 목적이 다름.
우리나라 국제개발 컨설팅 환경의 문제점
1. 기존 하드웨어 제공 중심 사업의 문제
2. 공급자 중심 사업(역량 개발이 포함되지 않아 효과 감소)
3. 지속적인 모니터링 부재(성과관리가 없는 경우 원조의 지속가능성이 저하)
개발정책 컨설팅과 개도국 조직경영 컨설팅
개발정책 컨설팅
-국가수준 통합/분야별 정책
-대단위/중장기 개발프로그램
-중/단기 프로젝트
개도국 조직경영 컨설팅
-개발도상국 국가/공공기관 경영전략
-개발도상국 국가/공공기관/민간 사업 전략
-개발도상국 국가/공공기관/민간 사업 수행/운영전략
국제 ODA 조달시장
주요 선진국 또는 MDB가 개발도상국의 빈곤 감축 및 경제발전을 위해 협력대상국에 지원하는 차관이나 무상자금 제공에 의해 시행되는 개발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때 필요한 정책 및 사업 컨설팅 서비스 및 기자재와 공사 수행기관을 선정하는 국제조달시장에 참여한다.
국내조달시장
프로젝트 사이클
개발컨설팅에서의 전문가
-지역분석 전문가 : 국제 개발상버을 위한 수원국 환경 분석
-프로젝트 관리 전문가 : 사업기획, 개발 및 사업운영관리
-평가 모니터링 활동 전문가 : 프로젝트 단계 중 평가 및 성과관리 수행 능력
프로젝트 사이클(발굴, 준비, 승인, 수행 및 모니터링, 수행 및 종료, 평가/환류)
사업 발굴 단계 : 사업 형성, 기획, 개념화
사업 준비, 승인 단계 :
이해관계자 분석, 사업 환경 및 현황 분석, 수행계획수립, 제안서 작성, 예산계획서 작성, 경쟁구도 파악 및 영업
수행 및 모니터링 단계 : 보고, 상시관리, 콘텐츠 관리
수행 및 종료 단계 : 기초선, 중간선, 종료선 조사 및 피드백, 상시, 정기 모니터링
평가 환류 단계 : 중간평가, 종료평가, 사후평가 및 피드백, 후속 전략 개발, 후속 사업 개발
개발컨설턴트의 세부 분류
기술컨설턴트 : 관련 분야의 학위 또는 실무경험을 갖춘 섹터별 전문가
국제개발컨설턴트 : 개도국 지역사정 및 개발의 제반 이슈에 정통하고 '개발-관리-평가' 능력을 갖춘 전문가
개발컨설턴트의 업무
우리가 협력하고자 하는 국가의 문제가 무엇인지 찾아내는 과정
국가의 맥락, 상황, 정책, 사전조사, 전략분석, 어떻게 평가를 해야되는지.
정책 단위에서 평가를 위한 조사를 미리함. 3년~5년내 어떤 평가를 받을지 미리 포함하는 과정.
분야별 전문가(섹터 전문가)
재무분석
가치사슬(농업경영)
사업 성과관리 등 ..
-->국제개발컨설턴트
우리나라 국제개발 컨설턴트 핵심역량
기술컨설턴트의 핵심 역량 : 전공 분야에 대한 기술적 전문성
개발컨설턴트 핵심 역량 (다면적)
1. 국제정치경제 및 개발협력에 대한 기본 지식
2. 기획, 발굴, 평가 모니터링을 포함한 조직화된 프로젝트 관리 능력
3. 정량적 정성적 문제 해결 및 연구분석 능력
4. 언어, 문화의 이해에 기초한 개도국 지역 분석 능력
5. 문서화, 상호 조화와 같은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 능력
하드웨어적 개발에서 탈피하고 기술과 컨설팅 분야에서 각각의 전문성을 최적화, 극대화하는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국제개발 환경의 변화가 급선무이다.
개발컨설턴트 필요 역량(지식/인지)
수원국의 개발환경 이해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 두 영역은 평생에 걸쳐 꾸준히 습득해야 하는 역량이다. 특히 개발협력분야는 학문적/실무적 트렌트가 매우 빨리 변화하므로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자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열린 배움의 자세'가 중요하다.
개발컨설턴트의 필요 역량(태도/정서)
세계시민의식, 개발협력 감수성, 연대의식과 공동체성, 회복탄력성
--> 특히 회복탄력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시련과 실패를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여겨 더 높이 튀어 오르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개발컨설턴트의 필요 역량(기술)
기술 역량의 경우 개발컨설턴트의 강점이 돋보여야 하는 역량이다.
-특정 섹터의 지식과 경험을 개발협력의 맥락과 어떻게 일치시킬 것인가
-어떻게 다양한 전문가들 간 조화로운 협업을 도모하면서 최선의 성과를 도출할 것인가
-사업 성과 달성을 위해 일정, 위험, 예산 등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성과/실패 경험을 어떻게 정리하고 공유하여 모두의 발전으로 이어나갈 것인가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 : 포기하지 않고 성장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나 자신을 극복해 나가는 힘(어느 자리에 있든 필요한 역량인듯..)
그 밖의 글쓰기, 의사소통 능력, 네트워킹 능력, 문서작성 시각화 능력, 운영관리 능력 등의 역량이 필요하다.
개발컨설턴트 석/박사 학위의 필요성?
석/박사 학위가 필수가 아니다. 소지하고 있는 현업 개발컨설턴트가 많지만 보통은 실무 경력을 쌓아 나가면서 필요성을 느껴 학위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개발컨설턴트와 개발학 전공?
개발협력은 현장에 대한 감각과 실무역량이 매우 중요하다. 실무현장에서 만날 수 이는 개발컨설턴트들의 학문적 백그라운드는 경제학, 정치학, 경영학, 정책학 등 매우 다양하다.
개발컨설턴트가 되기 위해 제2외국어?
특정 언어 권역 현장에서 일하고 싶은 경우가 아니라면 제2외국어보다는 영어 실력을 쌓는 것을 추천한다.
개발컨설팅 해외 기관 사례
개발컨설팅 국내 기관 사례
국제개발컨설팅에 진출방법
국제개발컨설턴트의 채용에는 공채나 정규직과 같은 개념이 없다. 즉, 개발컨설턴트가 되기 위한 정해진 루트가 없다는 말이다. 결국 그 길은 본인이 찾아나가는 것이는 점이다. 이건 국제개발컨설턴트뿐만 아니라 국제기구나 국제개발협력 업무전반에 걸친 특징인 것 같다.
따라서 우리는 적극적인 구직자가 되어야 한다.
국제개발협력 업무가 무엇인지 먼저 체험해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이카 해외봉사단원으로 활동한다든가, 영프로페셔널을 통해 코이카 인턴 업무를 경험해보고 전문가가 되는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코이카 경력 사다리를 적극 이용하자. 글쓴이 역시 졸업 후 코이카 해외봉사와 YP에 참여하고자 한다.
적극적은 구직자가 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정보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단체의 홈페이지가 들어가 직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개발컨설턴트의 커리어패스
개발컨설턴트가 되기 위해 정해진 길이 없다. 특히 국제개발 업무는 보통 업무가 비선형적이고 융합적인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따라서 본인이 추구하는 가치와 기능적인 전문성을 가지고 계속 문을 두드리고 다양한 경험을 쌓아나가다 보면 어느순간 개발컨설턴트든 개발협력 업무에서든 어느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을까하는 희망을 걸어본다.
결국 이 국제개발협력이라는 분야에서의 경력은 정글짐이라는 것.. 개인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본인을 계속해서 디벨롭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로써 나이, 직급을 초월한 '진짜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으며 '내 이름이 곧 브랜드'인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나도 그런 날을 꿈꿔본다...! 권지현 파이팅~!~!
'개발협력 > KOICA STEP UP-ZER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P UP-ZERO> 2차시 - 개발NGO 이해 및 진로탐색 (0) | 2024.02.29 |
---|---|
<STEP UP-ZERO> 6차시 - 기업이해 및 진로탐색 (1) | 2024.02.27 |
<STEP UP-ZERO> 4차시 - 공공기관 이해 및 진로탐색 (0) | 2024.02.23 |
<STEP UP-ZERO> 3차시 - 국제기구 이해 및 진로탐색 (0) | 2024.02.22 |
<STEP UP-ZERO> 1차시 - 개발협력 일자리와 생태계 (1)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