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지역대학원(중남미학과)/라틴아메리카 개발정책학

#3. 칠레 연금민영화와 멕시코 정책이전 사례

연금민영화에 관한 쟁점들 : 남미 국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금민영화 : 연금가입, 보험료 징수, 급여지추, 연기금관리 등의 연금제도에 관련된 전반적 업무를 법에 의한 국가의 강제적 집행에서 민간영역의 자율로 이전함.

 

  • 연금민영화의 3가지 형태

1. 연금기금의 운용을 정부에서 민간기관으로 이전

2. 연금급여방식의 확정급여에서 확정기여로 전환

3. 연금재정의 부과방식(pay-as-you-go)에서 적립방식(fully-funded)

 

  • 연금민영화의 범위

1. 비구조적 개혁(Nonstructural Reform), 모수적 개혁(Parametric reform)

①기존 공적연금제도에 임의나 강제형식의 부가적 공적연금제도를 더하는 것

②기존 공적연금제도의 내용을 개선하는 것 

ex) 연금수급 조건의 강화, 보험료 인상, 관리비용의 감소, 연금 급여 인하..

 

2. 구조적 개혁(Structural Reform)

①사적연금대체

기존의 공적연금제도의 사적연금제도에 의한 완전한 교체. 멕시코, 볼리비아 등의 나라들에서는 공적연금의 즉각적인 폐지와 함께 모든 가입자의 사적연금의무 가입을 통하여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다.

 

②병행

기존의 공적연금제도와 사적연금 모두 운영하고 가입자에게 선택권을 줌.

 

 

Chilean Pension Privatization as a Model for Latin America
- Based on the Mexican pension privatization case

 

1. Introduction

Policy Transfer: Defined as the process by which knowledge about policies, administrative arrangements, institutions, and ideas in one setting is used in developing policies in another context. It can be coercive or voluntary (non-coercive)

Policy Learning: Involves deliberate adjustments to policies based on new information or experiences, often observing policies in other jurisdictions to emulate or avoid their outcomes.

The Chilean pension privatization and its influence on Mexico, exploring whether the policy transfer involved soft (ideas, meanings, political contexts) or hard (specific policy models) factors and whether it involved adaptation, combination, or inspiration.

 

2. Chilean Pension Privatization as a Model for Latin America

Chile pioneered pension privatization under Pinochet in 1981, shifting from a public Pay-As-You-Go system to privately managed individual accounts. Chile’s success, mainly measured by increased investment returns in specific periods, created an attractive model for other Latin American countries.

Highlight why Chile’s reform became a model of policy transfer: It was marketed internationally based on its financial success, but less attention was given to social consequences, inequalities, and coverage gaps.

 

3. Policy Transfer from Chile to Mexico

Mexico’s pension reform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Non-structural reform (1991–1992) Limited adjustments aimed at enhancing efficiency without fundamentally altering the public nature of the pension system. Structural reform (1997) Full adoption of private pension management inspired directly by Chile’s 1981 privatization model.

Classify the type of policy transfer: The Mexican reform reflects a clear case of voluntary (non-coercive) policy transfer, with a strong emphasis on emulation. In terms of soft versus hard transfer, Mexico adopted both specific policy mechanisms (individual pension accounts, private management) and soft factors such as political justification, neoliberal ideologies, and market efficiency discourse. This case exemplifies "lesson-drawing"—policies actively selected based on Chile’s visible successes, although substantial adaptation to Mexican conditions was inevitable.

 

4. Policy Learning: Instruments, Methods, and Objectives

Instruments and Methods: Initially (1991-1992), Mexico conducted non-structural reforms without radically altering the system, demonstrating shallow learning. By 1997, Mexico executed structural reforms involving wholesale adoption of privatization instruments (individual accounts, private fund management), showing deeper instrumental learning.

Policy Objectives: The deeper objective behind pension privatization in Latin America, including Mexico, was securing domestic capital through pension funds for national economic stabilization and development.

 

5. Critique: Limitations of Policy Transfer from Chile

Chile’s pension privatization was primarily promoted on the basis of improved investment returns, neglecting to communicate associated risks such as inadequate coverage, social inequalities, administrative costs, and long-term sustainability issues. Consequently, countries like Mexico, when adopting the Chilean model, may have overlooked significant downsides and negative externalities. The simplistic portrayal of Chilean reform success illustrates "shallow learning," as critical socio-economic contexts and negative outcomes were undervalued or ignored.

 

6. Conclusion

Chile’s pension privatiz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Mexico’s pension reform through voluntary, non-coercive transfer involving both hard and soft factors. While Mexico’s reform demonstrates effective instrumental and methodological learning, the broader objective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economic stabilization show deeper strategic policy learning. Yet, critical shortcomings reveal the dangers inherent in policy transfer based predominantly on visible successes without comprehensive evaluations, exemplifying limitations in adopting Chile as an unequivocally successful case.

 

 

-----------------------------피드백------------------------------------------

 

개념이 중요. 개념이라는 것은 각 과목에서 많아야 20개 정도임. 개념을 이해하면 주제에 대한 적용이 무제한으로 이루어짐. fact에 충실하다보면 분석력이 떨어짐. 대학원을 다니는 이유? 수많은 팩트를 어떻게 갖고 요리를 할 것인지. 

 

institutioanl development (제도발전)

왜 개발도상국인가? 아직 시스템이 발전하지 못했다. 

ksp란? knowledge sharing program  (지식공유사업)

지식=경험(정책경험)

 

ktl(한국기술시험원)

콜롬비아의 디지털전환

 

hardware-컴퓨터주고 인프라깔아주고

software-제도 구축해줌

 

world bank-원조공여국들은 ksp해라!-- 칠레 chicago boys(시카고 보이즈) 시장 경제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정책을 펴는 것

 

중요한건 그 사업의 정의가 뭐냐. 정책이전? 정책경험이전? 정책이전이 제대로 되려면 뭐가 필요한가? 

copying<--> adaptation

칠레의 연금개혁을 페루, 멕시코, 폴란드 등등 가져감. 그 중 페루는 adaptation없이 copy함. 

 

비공식분야-국가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매출..)

칠레는 연금개혁이 성공할 수 있었던게 연금 대상자들의 경제활동을 국가가 관리할 수 있음(공식부분>비공식부분)

페루는 비공식부분이 60%이상임. ex)중국 알리페이(국민들의 소비패턴 다 감시..)

 

한국의 농민과 쿠바의 농민이 다름

한국은 자작농임. 쿠바나 북한은 집단농장체제임(경작권을 갖고있음) 

미국의 경제제재로 필요한 농기계를 충분히 확보 못해서 사람이 있어도 기계를 쓸 수가 없음.

 

--지난시간에 얘기 못한거--

한미fta와 nafta는 근본부터 다르다(김원호교수님 중앙일보)

많은 사람들이 한국은 미국이랑 fta 하면 망한다는게 주류였음. 

멕시코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는 달라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fta라는 것도 하나의 institution(제도를 도입하는 것-->policy transfer) 

다른나라에서 실패한 정책경험을 한국이 도입? 한미 산업구조와 멕미 산업구조와 비교해서 설명해야한다.

 

rostow 5단계 경제발전이론(근대화이론의 시발점)

다들 농경사회에 시작해.. preconditions for take-off

선진국가들이 이러한 발전단계를 거쳐서 선진국이 됨! 이미 발전한 선진국만 연구

근데 이런식으로 발전한 나라는 한국이랑 대만밖에 없음. 

 

gerschenkron - economic backwardness in historical perspective(1966, 근대화이론)

지역학 공부하는 사람한테는 이 내용이 더 맞음

specificity(특수성)을 이해해야함. 왜 성공하는 방법이 국가마다 다르냐를 설명함.

it could mobilize different organization and take advantage of socio-cultural creativity..(한국의 사회문화적 창의성/특수성)

 

종속이론-선진국의 발전은 개발도상국의 저발전에 영구화. 결코 개도국은 발전할 수 없다. 마르크스 이론이랑 비슷. 선진국과 경제관계를 끊어라. 근대화이론의 비판으로 발전함. 

 

자연과학은 국가마다 자연과학의 법칙이 다르게 적용될 수 없지만(기상현상, 의학..말라리아 병을 고칠 약을 만들었으면 자연과학의 발전임->한국에서도 아프리카에서도 통함)

사회과학은 미국에서의 경제정책이 한국에서? 아프리카에서? 중남미에서? 먹힌다는 법이 없음. 사회과학으로 다른 나라를 이해하려면 그 나라를 연구해야함. 

 

무역상사이야기

한국이 1975년에 정부가 수출목표를 정함. 수출목표 달성 못함. 정부가 고민하다가 다른 나라는 어떻게 수출하고 있나 연구함. 일본의 sogo-shosha 무역상사가 취급상품이 다양함(자동차, 신발, 옷..) 또 한국처럼 수출시장이 한쪽에 치우쳐져있지 않고 전세계를 상대로 다변화되어있더라. 무역상사가 운송 보험, 금융, 무역을 다루더라 즉, 사업영역이 넓더라. 

-->무역상사를 언제 만드냐.. 일단 취급 상품 다양화, 해외시장을 넓히자. (일본 제도를 adaptation한거임)

 

종합무역상사가 되면 뭐가 좋은가? 외환과 관련해 정부가 편리를 봐주겠다. 대출할 때 이자율을 낮춰주겠다. 행정절차를 간소화해주겠다. 

 

조건: 총 수출액중에 15%이상은 중동수출 중남미에 3%이상 아프리카에 3%이상 등. 2대륙 이상에 수출해야한다--> 한국 산업에 맞도록 adaptation해야됨. 한국 총 수출액의43%가 종합무역상사 수출이었음. 

한국이 막 수출하는 중화학 공업 제품을 60% 수출함. 새로운 시장에 33%에 수출함. 

일본의 종합무역상사 제도를 그대로 도입한게 아님. 

 

-----

internal hollowing out: 정부가 하던 일을 민간기업이 함(민영화), 과거에 중앙정부가 하던일을 지방정부가 함. policy transfer 대상이 됨. policy transfer 단위가 커짐

 

external hollowing out: 초국가적 단위(한국 정책을 어쩔 수 없이 한다 ex기후변화협약-탄소배출량을 줄여야함, UN, IMF) 

유럽은 중앙은행이 1개임(ECB)국가의 역할을 줄어들고 초국가적 주체의 역할이 커짐. 국가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외부의 poicy가 들어오기 수월함. 

 

중남미 개발정책? 인터넷 발달-> 다른나라 정책 집행을 모든 나라가 알 수 있음. policy transfer이 거의 실시간으로 일어남.

policy transfer network? policy transfer에 누가 관여하는가? 정책이전의 주체(국제기구, 정부, 상대국 정부)

 

de jong 2개의 perspectvie가 나옴

 

actors pulling in --누가 추진하는가(그걸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actor agency--추진하는 주체가 매개가 되어서 함, 구조적으로 경쟁력이 있는가

goodness of fit--institution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환경에 되어있는가

 

영어발표?ㅠㅠㅠ으아ㅏㅏㅏㅏ

 

negociated transfer vs coericive transfer 구분

국가가 할생각은 있는데 자금이 없을 때?

 

Evans--local value system에 compatible해야함. 

 

topic 발전시키는 법

policy transfer을 추진하는 주체, 관여한 주체들policy transfer network 분석(actors pulling in)

multilevel analysis -macro, meso, micro?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이데올로기? state transfortation? 이 사업 자체(implementary process)? 

 

 

논문쓸 때 why라는 질문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그 연구가 쉬워지거나 어려워질 수 있음

 

policy transfer의 결을 보면 지역연구의 실제를 볼 수 있음. 

 

 

-----칠레 연금 민영화

de jong 논문

familiy of nation--칠레와 멕시코 연금 민영화

스페인 식민지였다, 스페인어를 쓴다--

 

structure가 달라서인가? 

historical influencies 때문인가?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역사적 영향이 많이 달라짐. 멕시코는 스페인, 프랑스, 미국이 많이 섞였음. 

멕시코는 경제적으로 미국과 많은 교류를 하고 있음. 멕시코 비즈니스 문화와 남미의 비즈니스 문화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