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지역대학원(중남미학과)/라틴아메리카 산업과 사회

Tourism in Global Society Place, Culture, Consumption ch.1 요약 번역

jihyunprincess 2025. 4. 5. 08:24

1. 배경과 문제의식

19세기 중반부터 관광(tourism)은 선진 경제에서 중요한 요소였으나, 사회과학적으로 분석적 접근이 시작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는 과거 여가(leisure) 자체가 산업 생산과 같은 '중요한' 분야가 아니라 부차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 온 경향 때문이었다. 최근 들어 관광은 글로벌화된 사업 또는 산업으로서 자리매김했으며, 사회과학에서도 생산보다는 소비를 중심으로 연구 방향이 변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초기 저술은 딘 맥카넬(Dean MacCannell)의 『관광객(The Tourist, 1976)』이며, 이후 존 어리(John Urry)의 『관광의 시선(The Tourist Gaze, 1990)』 역시 이론적으로 관광 현상을 분석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세계는 맥카넬과 어리의 저술이 쓰였던 시대와 매우 다르다. 이제 우리는 근대성(modernity), 탈근대성(postmodernity), 나아가 세계화를 다루는 패러다임 속에 있다.


2. 관광 연구의 다양성과 한계

관광 연구는 학문적 경계를 명확히 긋기가 어렵고, 지나친 다양성(eclecticism)에 빠질 위험이 있다. 제프리 트라이브(Tribe)는 관광 연구가 다학제적이고 젊은 분야라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필자는 지나친 다양성이 이론적 상대주의(relativism)와 안일한 태도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필자는 이 책에서 관광이란 현상을 보다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설명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3. 관광을 바라보는 핵심 관점: 상품화와 소비

저자는 관광을 근대 자본주의에서 상품화(commodification)와 소비(consumption)의 과정으로 이해한다. 관광은 사람, 자본, 이미지, 문화의 글로벌한 흐름(flow)을 포함하는 소비 활동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관광의 다양성은 이러한 역동적 측면에서 적절히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4. 관광의 근대적 공간 형성 과정과 특징

근대화 과정에서 일(work)과 여가(leisure)가 분리되었고, 이에 따라 관광을 위한 공간(해변 휴양지, 스파 마을, 휴양 캠프 등)이 발전했다. 관광 공간은 사회적 계층에 따라 차별화되고, 소비를 위한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예를 들어, 영국 브라이튼(Brighton)은 부유층의 공간이었으며, 블랙풀(Blackpool)은 노동자 계급의 휴양지였다. 또한, 휴양 캠프(holiday camp)는 모든 서비스를 통제된 환경에서 제공함으로써, 현대적 공장 생산 방식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5. 현대성과 관광의 이론화(MacCannell과 그 이후)

맥카넬(MacCannell)은 관광을 근대의 소외(alienation)에서 벗어나 진정성(authenticity)을 찾으려는 시도로 분석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관광객의 경험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관광객에게 일방적 동기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또, 관광을 성스러운 순례(secular pilgrimage)로 보는 비유도 지나치게 제한적이다.

필자는 이러한 접근이 근대성과 그로 인한 소외 현상에 지나치게 비관적인 시각(dystopian vision)을 갖고 있다고 비판하며, 관광의 복합성과 실제 소비 양상을 간과하지 않는 이론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6. 책의 전체 구성 및 주요 주제

이 책은 다음의 주제를 순차적으로 다룬다.

  • 관광 공간의 창조와 상징적 가치
  • 관광 공간의 글로벌 정치경제
  • 관광의 상품화와 소비
  • 진정성과 유산(authenticity and heritage)의 문제
  • 세계화가 문화 생산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 정체성, 장소, 문화 간 상호작용
  • 결론 및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저자는 관광을 분석할 때 글로벌(거시적) 시스템과 로컬(미시적) 경험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이해하는 접근 방식을 강조한다.


🔍 핵심 내용 요약 (요점 정리)

  1. 관광의 사회과학적 분석은 최근에야 본격화되었으며, 근대화와 세계화 속에서 상품화와 소비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2. 관광 연구의 지나친 다양성과 상대주의적 경향을 경계하며, 보다 통합적이고 비판적 이론화가 필요하다.
  3. 관광은 근대성의 결과로 여가와 노동의 공간적·시간적 구분이 발생하면서 발전했다.
  4. 초기 사회과학적 관광 이론은 관광객을 소외된 근대적 존재로 보며, 관광을 성스러운 순례와 비교하였으나 이는 제한적이다.
  5. 저자는 관광을 글로벌 자본주의 시스템 속에서 사람과 자본, 이미지, 문화가 결합한 역동적 소비의 흐름으로 이해한다.
  6. 관광 분석 시 글로벌 수준의 구조와 지역적 차원의 경험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중요하다.